eterno

2022 청년희망적금 가입하고 9%이자 받자! 본문

정보공유

2022 청년희망적금 가입하고 9%이자 받자!

영원한별똥별 2022. 2. 10. 16:4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제 신한은행에서 청년희망적금 사전신청에 대한 문자를 받아서 

어떤 사업인지 알아보았어요!

 

청년희망적금

매월 50만원 한도 내애서 최대 2년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적금 상품입니다.

 * 매월 50만원씩 2년간 납입하는 경우 최대 36만원 저축장려금 지원(저축장려금 4%)

출처. 금융위원회

 

청년희망적금

출처. 금융위원회

◈ 출시일

 - 2022년 02월 21일(월)

  * 현행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이자소득 비과세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2022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해야 합니다.

 

   * 출시 첫주(2월 21일 ~ 25일)에는 5부제 가입 방식 적용

    2월 21일(월) : 91년생 / 96년생 / 01년생

    2월 22일(화) : 87년생 / 92년생 / 97년생 / 02년생

    2월 23일(수) : 88년생 / 93년생 / 98년생 / 03년생

    2월 24일(목) : 89년생 / 94년생 / 99년생 

    2월 25일(금) : 90년생 / 95년생 / 00년생

 

◈ 가입 연령

 - 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청년 

 

◈ 가입 조건

 - 직전 과세기간(2021년 1월 ~ 12월)의 총 급여가 3,600만원(종합소득금액 2,600만원)이하 

   (직전 과세기간(2021년 1~12월)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까지는

   전전년도(2020년 1~12월) 소득으로 개인소득 요건 및 가입가능 여부를 판단)

 * 직전 과세기간(2021년 1월~12월)의 소득은 2022년 7월 경 확정

 - 국세청을 통한 소득금액 증명이 가능한 자

 - 계좌는 1개만 개설 가능

 - 직전 3개년도 중 1회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다면 가입 제한

 

 청년희망적금 가입 은행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 은행

(SC제일은행은 6월경 추가 예정)

에서 대면, 비대면으로 신청 가능

 

각 은행별 우대금리, 우대조건이 조금씩 다르니

신청하고자 하는 은행 비교해서 신청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를 통해 내가 가입가능한지 알 수 있고,

미리보기에 참여한 사람은

정식 출시했을 때 가입요건(연령·개인소득) 확인절차를 거치지 않고

바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청년희망 적금 미리보기 기간 - 2022년 02월 09일(수) ~ 2022년 02년 18일(금)    오전 10시 ~ 오후 10시 사이에 가능(주말제외) 

◈ 청년희망 적금 미리보기 신청

 - 청년희망 적금 신청 가능 은행 어플을 통해 참여가능여부 확인 가능

   (2~3일 영업일 이내 문자로 통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 은행

(경남은행은 2월 28일에, SC제일은행은 6월경 추가 출시 예정)

 * 청년희망 적금 미리보기 신청안해도 청년희망적금 정식 출시일 이후에 신청 가능

 

또 각 은행에서 미리보기 참여시 해택이 있을 수 있으니

참여하실 분들은 미리보기를 통해 해택도 챙기시길 바라요!

(예시) 신한은행은 선착순으로 스타벅스 아메리카노(tall) 증정

 

 

청년희망적금

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청년대상 지원상품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청년두배희망통장) 과 중복 참여 가능

  * 청년희망적금은 금융위원회 주최

 

2022년 소득이 없어도 2020년 또는 2021년도 소득이 있으면 참여가능

  (2021년에 대한 소득은 2022년 7월에 확정되기 때문에

  2020년 소득 조건이 안되고 2021년도 소득 조건이 된다면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된 이후에 가입 가능)

 * 현재는 전전년도(2020년 1월 ~12월) 과세기간 소득을 기준으로 판단함

   

2020년 소득조건은 충족되고 2021년 소득조건이 미충족일 경우

   청년희망적금 가입은 유지되고 저축장려금도 지급되지만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이자소득 비과세는 지원받을 수 없음

 

 참고 사이트

- 금융위원회 공식 블로그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blogfsc&logNo=222641838717&proxyReferer=

728x90
반응형